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 파이썬/자료구조

완주하지못한선수 파이썬

by 백엔드 개발자 2021. 9. 23.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participantcompletionreturn

["leo", "kiki", "eden"] ["eden", "kiki"] "leo"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vinko"
["mislav", "stanko", "mislav", "ana"] ["stanko", "ana", "mislav"] "mislav"

 

 

해쉬를 사용하기 위해서 

 

둘다 dict로 만들고, key를 두개의 배열 원소, value를 그 원소의 개수로 풀이했다.

그다음 같은 key일때 개수가 다르면 출력하도록 짜봤는데 효율성 테스트를 실패했다.

 

아마 for문이 2번 들어가서 그런것 같다.

 

 

풀이 출처:https://velog.io/@ohzzi/Python-Lv1-%EC%99%84%EC%A3%BC%ED%95%98%EC%A7%80-%EB%AA%BB%ED%95%9C-%EC%84%A0%EC%88%98

 

1. 해쉬를 이용한 풀이

 

둘다 해쉬로 만드는 것은 맞지만, hash 함수를 이용해서 참가자목록의 key값을 전부더한다.

그다음 완주자목록도 해쉬로 만들면서 key값을 전부 뺀다.

 

이렇게 되면 동명이인이라도 key값이 마지막으로 남아서 걸러낼 수 있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
,b=dict(),dict()
    hash_key=
0#해쉬키
   
#해쉬를 생성하면서 모든 키값들을 더함.
    #
이러면 중복이라도 키값이 하나 남는다.
   
for i in participant:
        a[
hash(i)]=i
        hash_key+=
hash(i)
       
#두번째 해쉬를 생성하면서 미완주자를 제외하고 키값을 제거
   
for i in completion:
        b[
hash(i)] = i
        hash_key -=
hash(i)
   
return a[hash_key]

 

 

 

2. Counter를 활용한 풀이

 

collections의 Counter는 딕셔너리를 확장한 클래스, 객체끼리 뺄셈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해서 서로빼주면 쉽게 미완주자를 구할 수 있다.

빼고서 list로 keys를 변환시켜주어야 단일값으로 나온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Counter(participant)-Counter(completion)
   
return list(ans.keys())[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