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컨퍼런스 및 교육

2022 인프콘 김영한 연사님의 세션 영상 내용

by 백엔드 개발자 2024. 7. 28.

영한님의 인프콘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요약

이직

1. 가고싶은 회사를 티어별로 정리해라.
2. 가고싶은 회사의 채용사이트에서 사용기술을 정리하고, 비슷한 기술을 쓰는 2,3티어도 정리해라.
3. 실무에서는 당장 사용하는 기술을 잘 다루는 경력자를 선호하기 때문에, 기술을 맞추어 두는게 확률이 좋다.
4. 신입으로 1티어를 가는건 정말 쉽지 않으니, 일단 3티어를 가서 단계별로 올라가는게 더 쉽다.

 

이직준비

1. 개발,운영,개선 사이클을 전부 경험해볼 수 있는 회사에 가자 . ex 서비스나 플랫폼 회사

 


채용

1. 채용은 확률이고, 실력있는 개발자TO는 무제한이다.
2. 기술과 성향이 맞으면 확률이 높다.

 


이력서

1. 서탈이 계속되면 실력과 경험이 낮은것이니 티어를 낮추거나 더 쌓아야 한다.
2. 이력서 작성방법이 부족해서였을 수도 있으니, 작성 방법 공부도 필요하다.

필살기 

문제를 기술적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 자세히 적는 것이다.
어떤 문제가 있었고, 이를 기술적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 적는 것이다.
이런 것들로 나의 기술적 깊이를 보여주어야 함.

 

면접

1. 내공이 부족한 케이스이다. 학습-> 체득 -> 정리의 경험이 필요하다.

학습

1. 궁극적으로 가고 싶은 회사의 기술스택을 채용공고를 확인해서 학습해야 한다.
2. 학습, 체득, 정리의 단계로 학습을 한다.

1. 학습 : 강의, 책
2. 체득 : 실무 적용이나 토이 프로젝트
3. 정리 : 노트, 블로그, 세미나 만들기
-> 나는 체득이 너무나 부족하니, 실무나 토이로 보완이 필요하다.


학습과 이직

1. 학습 -> 이직 도전 -> 실패 -> 면접에서 부족한 부분 확인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을 위해서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시스템

1.목표는 달성하면 성공, 아니면 실패인 것이다.
2.시스템은 그시간에 그냥 그것을 하는 것이다. 
시스템을 돌린다.-> 본인에 맞게 개선하며 성장한다 -> 자연스럽게 성공에 가까워진다.

 


피드백

1. 시스템을 통해 성장 -> 이직 시도 -> 피드백 -> 이걸 시스템을 통해서 채우고 또 시도 하고 또 피드백 받고..
2. 업무시간이후에 매일 3시간씩만 학습해도 1년에 1000시간이다. 잘될 수 밖에 없다.

 

실력있는 개발자
1. 공부할수록 배울게 나온다.
2. 본인이 배워야 할게 많다고 생각한다.
3. 겸손
4. 지속적인 성장, 엄청난 내공
5. 기술적 혁신, 더 큰 도전을 즐긴다.

시스템을 통해 더 좋은 개발자로 지속해서 성장하는거 자체가 중요하다.
개발은 팀웍이니까 성장으로 주변에 좋은 기술 리더십과 좋은 영향력을 발휘
성장을 통해 주변 동료들에 인정받고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로 남는것이 중요하다.


지금 한 번! 
지금만 한 번, 마지막으로 한 번, 또 한 번! 순간은 편하겠지. 근데 말이야. 그 한 번들로 사람은 변하는 거야. - 이태원 클라스의 박새로이 명언.
시스템과 함께 꾸준히 성장하자!











 

 

 

 

나의 개발자 커리어 이야기


  • 어릴때는 게임 폐인
    -> 게임 프로그래머의 꿈을 꾸셨다.
  • it 학원 등록을 위해 배달등 아르바이트.
  • 서울에서 취업준비
  • 부도난 인력파견회사에 첫취업...ㅠ SI였던듯
  • IT학원 강사를 우연한 기회에 하게됨 => 커리큘럼이 머릿속에 쭉 나옴. 학생들이 안졸고 잘함. 
    • 본인의 강점을 깨닫게 됨
  • 다시 SI. 가장 힘든 시기.. 네카라쿠배에 한번 가보고 싶었다는 목표가 있으셨다.
    • 언젠가 계속 노력하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
  • 남는 시간을 쪼개서 공부하셨다고 한다. 서비스회사 기술, 스택 주로 공부, 출퇴근 공부, 주말 공부
  • 꿈에그리던 카카오, SK플래닛에 합격함.
  • 결국 우아한 형제들 기술이사가 되셨음 (결제, 정산, 주문등을 익힘). 레거시를 msa 전환 프로젝트 성공.
  • 밑바닥 부터 올라온 케이스라고 하셨다. 수많은 개발자들을 채용하고 성장하는걸 봤음.
  • 인프런수강생들의 수많은 개발자 상담 및 조언을 하셨음
  •  

 

 

 

 

이직


  1. 가고싶은 회사를 1,2,3티어로 정리해라
  2. 신입 vs 경력

    일단 취업을 하고, 단계적으로 티어를 높여서 가는게 유리하다는 얘기였다.

 

 

이직 준비 - 성장, 연봉

 

  1. 개발,운영,개선 사이클을 모두 경험해볼 수 있는 회사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2. 개발 해주는 회사 vs 자기 제품을 개발하는 회사
    SI,SM은 전체 사이클을 경험하기 어렵고, 한계가 존재한다.



채용


  • 채용은 확률이다.
  • 개발자 TO는 무제한이다(실력있는...)
  • 예를 들어 여러개발자들이 다음회사에 지원했다면?
    • 네카라쿠배인, 2티어 회사 1곳
  • 그때그때 다름
    • 2티어 회사만 합격
    • 네카라쿠배인 합격, 2티어 불합격
    • 네 합격 배불합격
    • 배불, 네 합격
  • 같은 사람을 여러명이 면접을 봐도 서로 합격 불합격이 갈린다.
  • 면접관도 사람이라 선호하는게 다다르다.
    • 기술 : 자바,스프링,JPA, DB, HTTP, 객체지향, 알고리즘
    • 성향: 기술 경험 vs 성장 가능성
  • 기술과 성향이 맞으면 합격 확률이 높다
더보기

 

 

 

 

 

 

 

 

 

개발자 TO는 무제한

현재는 실력있는 개발자를 모셔가려고 IT회사에서 혈안이 되어 있다

 

 

 

 

 

이력서


 

 

 

 

 

 

이력서-필살기

 

 

 

 

 

 

 

 

 

면접


 

 

 

 

학습


 

 

 

수영 선생님한테 수영을 배울때, 그걸 보기만한다고 되는게 아님. 직접 써보면서 체득하고 정리해봐야 한다는 말씀이셨음.

 

나 같은 경우, 학습도 문제지만, 체득이 아예 안됐다고 생각이 들었다. 정리는 같이 해서 만족하고 있었으나, 2번이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 이걸 해보려고 노력해봐야 되겠다ㅏ.

 

 

 

 

이걸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시스템


 

목표 vs 시스템

 

목표는 달성하면 성공, 아니면 실패인 것.

 

 

 

 

 

 

그냥 그시간에 그것을 하는것. 열정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하는걸 말씀하시는걸로 생각된다.

 

 

 

 

 

 

 

 

 

 

 

 

 

 

 

 

성장


 

 

 

 

 

 

 

 

 

 

 

 

 

 

 

 

 

 

 

 

 

 

 

 

 

출처 

 

'컨퍼런스 및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Youthcon 참석 세션 1부  (3) 2024.08.31
토스뱅크 밋업  (0) 2024.08.09
GDG 송도 2024 07-26  (0) 2024.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