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 파이썬/자료구조

1620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파이썬

백엔드 개발자 2021. 9. 1. 11:59

입력

첫째 줄에는 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포켓몬의 개수 N이랑 내가 맞춰야 하는 문제의 개수 M이 주어져. N과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데, 자연수가 뭔지는 알지? 모르면 물어봐도 괜찮아. 나는 언제든지 질문에 답해줄 준비가 되어있어.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포켓몬의 번호가 1번인 포켓몬부터 N번에 해당하는 포켓몬까지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들어와. 포켓몬의 이름은 모두 영어로만 이루어져있고, 또, 음...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포켓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0이야. 그 다음 줄부터 총 M개의 줄에 내가 맞춰야하는 문제가 입력으로 들어와. 문제가 알파벳으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를 말해야 하고, 숫자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해야해. 입력으로 들어오는 숫자는 반드시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고,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는 반드시 도감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만 주어져. 그럼 화이팅!!!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M개의 줄에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해줬으면 좋겠어!!!. 입력으로 숫자가 들어왔다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포켓몬의 이름을, 문자가 들어왔으면 그 포켓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면 돼. 그럼 땡큐~

 

 

포켓몬 이름을 입력하면 숫자를 출력, 숫자를 출력하면 이름을 출력하라는 간단한 문제이나,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할 지 정해야 한다.

 

나는 우선 딕셔너리를 사용했고, 숫자를 키로 이름을 값으로 사용해서 저장했다.

 

그럼 문제는 value값을 가지고 key값을 출력하는건데,

 

3가지 방법을 시도했다.

 

1. 함수로 만들어서 dict.items()에서 for문으로 값이 일치하는 key값 반환하기

이방법은 시간초과가 떴었다.

2중 for문이 되어버려 10만*10만으로 2초를 넘어선다.

 

2. key, value를 뒤집은 딕셔너리를 하나 더 만든다.

map에서 reversed를 써서 뒤집어서 만든다. 이방법은 성공했다.

 

3. 하나의 딕셔너리에서 아예 뒤집은 값도 추가하기.

무식한 방법이지만 이방법도 가능했다.

 

다만 input()으로 입력을 받을 때 마지막에 \n이 추가되서 rstrip()으로 입력받은 값만 사용할 수 있게 했고,

isalpha와 isdigit으로 문자인지 숫자인지 구분해서 숫자면 int()를 붙여서 값을 도출했다.

 

 

 

2번방법: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
,M=map(int,input().split())
Pocket=
dict()
for i in range(1,N+1):
    data=input().rstrip()
    Pocket[i]=data
  
# Pocket[data]=i
revP=dict(map(reversed,Pocket.items()))

for i in range(M):
    data=input().rstrip()
   
if data.isalpha():
       
print(revP[data])
   
elif data.isdigit():
       
print(Pocket[int(data)])

 

 

3번 방법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
,M=map(int,input().split())
Pocket=
dict()
for i in range(1,N+1):
    data=input().rstrip()
    Pocket[i]=data
    Pocket[data]=i


for i in range(M):
    data=input().rstrip()
   
if data.isalpha():
       
print(Pocket[data])
   
elif data.isdigit():
       
print(Pocket[int(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