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 파이썬/다이나믹

1890 점프 (재시도 -0)

백엔드 개발자 2021. 7. 9. 14:03

N×N 게임판에 수가 적혀져 있다. 이 게임의 목표는 가장 왼쪽 위 칸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칸으로 규칙에 맞게 점프를 해서 가는 것이다.

각 칸에 적혀있는 수는 현재 칸에서 갈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반드시 오른쪽이나 아래쪽으로만 이동해야 한다. 0은 더 이상 진행을 막는 종착점이며, 항상 현재 칸에 적혀있는 수만큼 오른쪽이나 아래로 가야 한다. 한 번 점프를 할 때, 방향을 바꾸면 안 된다. 즉, 한 칸에서 오른쪽으로 점프를 하거나, 아래로 점프를 하는 두 경우만 존재한다.

가장 왼쪽 위 칸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칸으로 규칙에 맞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게임 판의 크기 N (4 ≤ N ≤ 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 줄에는 각 칸에 적혀져 있는 수가 N개씩 주어진다. 칸에 적혀있는 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 칸에는 항상 0이 주어진다.

출력

가장 왼쪽 위 칸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칸으로 문제의 규칙에 맞게 갈 수 있는 경로의 개수를 출력한다. 경로의 개수는 263-1보다 작거나 같다.

 

 

풀이방향 :

arr배열로 nxn배열의 값들을 전부받고 dp테이블을  2차로 초기화한다.

그후에 오른쪽 과 아래쪽으로만 갈 수 있기 때문에 dp[0][0]을 1로 두고

dp인덱스에서 arr[i][j]만큼 이동했을 때 dp 값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앞에서 푸는 방법과 맨뒤에서 생각하는 방법을 고려했는데, 뒤에서 생각하는거는 좀 계속 막혀서

앞에서 부터 dp인덱스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생각했다.

 

이때 제약 조건은 2가지 정도 생각했는데

1. i+arr[i][j] 와 j+arr[i][j]가 입력받은 n보다 작아야한다. 그래야 인덱스를 넘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2.dp[i][j]가 1일때만 실행해야한다고 생각했다. 일단 0이면 그경로에는 없다는 뜻이므로 배제하기 위해서

 

풀이를 보니 매우 아쉬웠고 좀 이해가 안갔다. 

 

 

왜  dp[i+arr[i][j] ][j]+=1 이 아니라 dp[i+arr[i][j] ][j]+=dp[i][j] 인지

그리고

if dp[i][j]==1: 이 아니라 왜  if dp[i][j]!=0 and arr[i][j]!=0:인지 고민해 봐야겠다.

 

 

내풀이 

 

#n입력
n=int(input())
arr=[ list(map(int, input().split()) ) for _ in range(n)]
#배열입력
dp=[  [0]*n for _ in range(n)  ]
dp[0][0]=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dp[i][j]==1:
        if arr[i][j]+i<n :
            dp[i+arr[i][j] ][j]+=1
        if  arr[i][j]+j<n :
            dp[i][j+arr[i][j]]+= 1
print(max(dp))

 

 

정답 

#n입력
n=int(input())
arr=[ list(map(int, input().split()) ) for _ in range(n)]
#배열입력
dp=[ [0]*n for _ in range(n) ]
dp[0][0]=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dp[i][j]!=0 and arr[i][j]!=0:
        if arr[i][j]+i<n :
            dp[i+arr[i][j] ][j]+=dp[i][j]
        if arr[i][j]+j<n :
            dp[i][j+arr[i][j]]+= dp[i][j]
print(dp[n-1][n-1])